골드바흐 파티션
문제
- 골드바흐의 추측: 2보다 큰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.
짝수 N을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. 짝수 N이 주어졌을 때, 골드바흐 파티션의 개수를 구해보자. 두 소수의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파티션이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 (1 ≤ T ≤ 100)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정수 N은 짝수이고, 2 < N ≤ 1,000,000을 만족한다.
출력
각각의 테스트 케이스마다 골드바흐 파티션의 수를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5
6
8
10
12
100
예제 출력 1
1
1
2
1
6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cmath>
using namespace std;
const int Max = 1000001;
bool check[Max];
int GetPartition(int n)
{
int cnt = 0;
for(int i = 0; i <= n/2; i++)
{
if (!check[i] && !check[n - i])
cnt++;
}
return cnt;
}
int main()
{
ios_base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; cout.tie(0);
check[0] = check[1] = true;
for(int i = 2; i <= sqrt(Max); i++)
{
if(!check[i])
{
for (int j = i + i; j <= Max; j += i)
check[j] = true;
}
}
int T;
cin >> T;
for(int t = 0; t < T; t++)
{
int N;
cin >> N;
cout << GetPartition(N) << '\n';
}
return 0;
}
해당 문제는 제한시간이 0.5초로 매우 작다.
따라서 파티션의 개수를 구하기위해 2부터 n까지의 for문을 모두 돌면 시간 초과가 걸리게 된다.
우선, 에라토스테네스의 채를 이용해 소수를 판별하는 bool 배열을 초기화하였고, 두 소수의 합을 구하기 위해 check[i] 와 check[n-i]를 구하였다.
처음에는 두 소수의 합을 구하려고 2중 for문을 돌렸는데, 사실 두 소수의 합이 n이 나오려면, 그냥 i와 n-i 를 구하면 되는거였다..!
그리고, 두 소수의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파티션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for문을 n번까지 전부 돌리지 않고, 0부터 n/2 번까지만 절반만 돌렸다.
그럼 자연스럽게 중복처리도 없어지고 연산 시간도 줄일 수 있다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103
17103번: 골드바흐 파티션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 (1 ≤ T ≤ 100)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정수 N은 짝수이고, 2 < N ≤ 1,000,000을 만족한다.
www.acmicpc.net
'💻코딩테스트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/C++] 1010번 : 다리 놓기 (nCr 조합 공식) (0) | 2023.07.19 |
---|---|
[백준/C++] 11050번 : 이항 계수 1 (조합, 팩토리얼, 이항계수 공식) (0) | 2023.07.19 |
[백준/C++] 1929번 : 소수 구하기 (sqrt, 에라토스테네스의 채 비교) (0) | 2023.07.17 |
[백준/C++] 1932번 : 정수 삼각형 (DP 연습) (0) | 2023.07.13 |
[백준/C++] 2580번 : 스도쿠 (백트래킹 연습) (0) | 2023.07.11 |